학회지(검색)


pISSN: 1976-7986


스포츠인류학연구 , Vol.18 No.3. (2023)
pp.97~118

DOI : 10.59433/kaosa.2023.18.3.006

백두대간 종주 방식과 의미체계

오영훈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원)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 종주가 이루어지는 방식과 종주자들이 그 에 부여하는 의미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980년대 백두대 간 개념이 재발견된 과정을 분석하고, 오늘날 백두대간 종주가 이루어지 는 주요 방식을 개괄하며, 백두대간 종주에 등산인들이 부여하는 의미체 계를 파악했다. 이를 위해 신문·잡지 기사 등의 문헌자료와 각종 산악 회 홈페이지 등 인터넷 자료 외에 백두대간 종주 경험자 3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백두대간은 1980년대 그 개념체계 가 재발견되는 과정에 등산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둘째, 백두대 간 종주 방식은 일시종주, 친목 산악회가 주관한 구간 종주, 안내산악회 가 모객한 구간 종주의 세 가지로 나누어 시행되고 있었다. 셋째, 백두 대간 종주에는 민족적 정체성의 상징적인 실천이라는 의미, 인간관계의 가치를 발견하는 의미, 목표한 산행을 이루었다는 성취감, 완주를 통한 위세의 획득 등의 의미체계가 파악됐다.

Hiking through Baekdu-daegan Trail : Practices and Meanings

Oh, Young Hoon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practices and meaning-making in the hiking of the Baekdu-daegan trail in South Korea. Baekdu-daegan as a concept was re-discovered in the 1980s by the efforts of a few amateur-geographers-mountaineers. Since then, Baekdu-daegan has been considered a long-distance trail among the Korean populace. Based on archival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hikers,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there are mainly three ways to hike the trail: once-and-for-all through hiking, hiking serially of segments organized by a club, and joining a trip organized by a tour company. Further, four patterns are identified in the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hiking, including a symbolic practice of national identity, a building-up and rediscover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 event of project hiking with reward of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a challenge to bring an authority in the mountaineering and hiking community.

Download PDF list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백령스포츠센터 B006호
학회비 계좌번호 : 우리은행 141-08-130174 김지훈(사무국장)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 All rights reserved.